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기억나십니까. <br><br>이재명 경기지사 시절 청정 계곡을 만들겠다며 계곡 근처 불법 영업 식당들 강제 철거했었죠. <br> <br>그럼 경기 지역 계곡은 청정 지역이 됐을까요. <br> <br>이솔 기자가 다시 가봤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평상이 부서지고 알루미늄 지붕은 종잇장처럼 구겨졌습니다.<br><br>경기도는 2019년부터 1만 2천 개가 넘는 계곡 불법 영업 시설을 철거했습니다.<br><br>4년 전, 경기도는 계곡의 불법 시설물을 없애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청정 계곡으로 돌려놓겠다고 했습니다. <br> <br>특정 업소가 하천을 독점할 수 없고 시설물도 무단으로 설치할 수 없다는 건데요. <br> <br>과연 그럴지, 다시 찾아가봤습니다.<br> <br>계곡을 따라 늘어선 식당들. <br> <br>저마다 물속 평상 자리가 있다고 홍보합니다. <br> <br>식당 안으로 들어가 봤습니다. <br> <br>바닥엔 물이 흐르고, 손님들은 발을 담근 채 음식을 즐깁니다. <br> <br>[식당 관계자] <br>"계곡에는 장사를 못해요. 법으로 못하게 돼 있어서 안에 평상을 만들어 놨잖아요. 밑에 물 만들어놓고. 그런 시스템이에요. 다 그래요, 여기는." <br> <br>이 물은 어디서 난 걸까. <br> <br>영업 시작 전 이른 아침, 계곡에서 식당으로 긴 고무관이 이어져 있습니다. <br> <br>계곡 물을 끌어올려 식당 바닥에 물을 채우는 겁니다. <br> <br>[A 식당 직원] <br>"계곡에 있는 물을 끌어다 올려서 이쪽으로 넣어서 돌리는 구조라서…" <br> <br>[B 식당 직원] <br>"이게 지하수랑 계곡물이랑 이렇게 끌어 올리는 거라서요." <br> <br>계곡에서의 영업을 단속하자 아예 계곡 물을 식당 안까지 끌어다 쓰는 새로운 꼼수가 등장한 겁니다. <br><br>명백한 하천법 위반이지만, 눈 가리고 아웅 하듯 연결된 고무관만 치우면 간단히 단속을 피할 수 있습니다. <br><br>[시청 관계자] <br>"지금도 단속하고 있거든요. 사장님 말로는 지금 물차 사용하고 계시다고. 그 안에서만 순환하는 거라고, 하천에서 뽑아 쓰는 게 아니라." <br> <br>또 다른 식당은 아랑곳 않고 여전히 계곡영업을 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테이블과 파라솔이 계곡을 빽빽이 둘러싸고 있고 바위 위엔 평상까지 놓여 있습니다. <br> <br>[시청 관계자] <br>"저희도 민원 많이 받고 있어서 다른 방법도 찾고 있긴 한데 사유지에 둘러싸여 있다 보니까 저희도 이게 어떻게…" <br> <br>음식 가격은 닭백숙과 닭볶음탕이 7만 5천 원, 부추전은 2만 원이 넘습니다. <br> <br>계곡에서 놀려면 바가지는 감수해야 합니다. <br> <br>사실상 자릿세입니다. <br> <br>[피금자 / 서울 서대문구] <br>"비싸요. 옛날하고 비교할 수가 없어. 비싸요. 너무 비싸요." <br> <br>아예 지자체가 식당과 협의해 시민들이 무료로 앉을 수 있는 테이블을 설치한 곳도 있습니다. <br><br>하지만 막상 자리를 잡으면 식당 주인이 나타납니다. <br> <br>[C 식당 관계자] <br>"(여기 밑에서 놀려면 식당 이용해야 해요?) 네. 음식을 드시면 (이용)할 수가 있지." <br> <br>[D 식당 관계자] <br>"이쪽에서 노실 것 같으면 저희 가게 음식을 좀 팔아주시고." <br> <br>[인근 상인] <br>"민원도 엄청 들어오는데 까딱도 안 해요. 식당에서 뭐라고 하니까 싸우기 싫으니까 사람들이 그냥 다 시켜먹는 거예요." <br> <br>경기도는 한때 감소하던 계곡 불법 영업이 지난해부터 다시 늘었다며 올 여름 강력 단속을 벌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다시간다 이솔입니다. <br><br>PD : 홍주형 <br>AD : 김승규 <br>작가 : 김예솔<br /><br /><br />이솔 기자 2sol@ichannela.com